티스토리 뷰

반응형

Bm7코드는 바레 형태에 속하는 마이너 세븐스 계열의 일부이다. 비슷한 내용으로 지난 포스팅에서는 Fm7을 통기타에서 어떻게 잡는지 알아보고 바레 코드의 구성 원리에 따라 같은 형태로 다른 여러 코드를 만들어 보았다. F에 비해서는 잡는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반면에 Bm7은 Fm7에 비하면 약간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이전 포스팅에서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하면 쉽게 따라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지금부터 Bm7코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그리고 해당 형태를 활용하여 다른 마이너 세븐스를 만들 것이다.

1. Bm7코드의 구성 원리에 대해 알아보기

Bm7코드는 Fm7과 마찬가지로 바레 코드에 속하는 형태를 가진 것 중 하나이며 마이너 세븐스에 속한다. 우선 마이너 세븐스 구성 원리에 따라 음을 쌓아보도록 하자. B는 Si를 의미하기 때문에 근음 1도는 Si가 된다.단음 3도는 근음 1도에서 한 개의 온음 간격과 한 개의 반음 간격을 벌려야 하기 때문에 Rae가 된다. 완전음 5도는 근음 1도에서 세 개의 온음간격과 한 개의 반음 간격을 가지기 때문에 Pa#이 된다. 마지막으로 단음 7도는 근음 1도에서 한 개의 반음 간격을 낮춘 것이기 때문에 Ra가 된다. 따라서 마이너 세븐스 구성 원리에 맞게 Si, Rae, Pa#, Ra로 쌓을 수 있다.

2. Bm7코드의 운지법을 알고 구성음 확인하기

Bm7코드의 구성 원리를 알았다면 통기타에서 해당 화음을 표현해보고 구성음이 올바르게 포함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이렇게 만든 구성음 대로 통기타에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지난번에 배웠던 Am7의 형태를 3 프렛과 4 프렛에서 표현하며 2 프렛 전체를 1번 손가락으로 누른 바레 형태라고 보면 된다. 이 형태로 기타 줄을 잡게 되면 6번 줄부터 Pa#, Si, Pa#, Ra, Rae, Pa#의 순서로 배열되는데 Bm7코드의 모든 구성음이 포함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6번 줄의 P#은 구성음에는 포함되나 근음이 아니기 때문에 1번 손가락의 끝부분을 6번줄 아래에 붙여주어 뮤트하도록 한다.

3. Bm7코드의 형태를 이용하여 다른 화음 만들어보기

Bm7코드는 바레 형태의 구성 원리에 따라 같은 형태를 유지하며 다른 코드를 만들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바레 코드의 구성 원리에 관한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지난 포스팅에서 다룬 Fm7도 바레 유형에 속하는데 같은 형태로 1 프렛씩 전진하여 새로운 마이너 세븐스가 탄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m7코드 또한 이와 똑같이 할 수 있다. 기존의 Bm7에서 1 프렛 뒤로 후진하면 A#m7이 되고, Bm7에서 1 프렛씩 전진하면 Cm7, C#m7, Dm7처럼 반음씩 높아지는 형태로 새로운 마이너 세븐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4. Bm7코드와 같은 형태를 가진 마이너 세븐스를 연습해보기

이제 Bm7코드의 구성 원리와 운지법을 알고 같은 형태로 다른 코드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알았다면 지난번과 같은 방법으로 4분의 4박자에서 첫 마디를 기준으로 두 번씩 연주하는 2분음표로 연습해보자. 아직 바레를 눌러 소리 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템포를 최대한 낮춰서 연습한다. 또한 가지 유의할 사항은 오늘 배운 내용은 전부 5번 줄이 근음이기 때문에 1번 손가락의 끝 부분을 이용하여 6번 줄 아랫부분에 대어주어 뮤트 시킨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BPM의 숫자를 50으로 설정한 뒤 박자에 맞춰 천천히 연습해보자. 익숙해지면 속도를 10 단위로 올려서 연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Bm7코드의 구성 원리와 운지법에 대해 알아보고 같은 형태로 다른 코드를 만들어보며 연습해보았다. 아직 소리를 올바르게 내는 것에 익숙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기타의 전반적인 원리를 이해한 셈이다. 많은 연습을 통하여 더욱 익숙해지기를 바란다. 또한 개방현에서의 Am7을 6번 줄의 5 프렛에서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처럼 같은 코드를 여러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으니 직접 찾아서 연습해보면 기타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핑거스타일 연주의 기초인 퍼커시브 주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