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업 스트로크의 연주 주법을 알고 E7과 A7코드를 활용하여 연주해보자

업 스트로크 연주 주법은 다운 주법과 마찬가지로 기타를 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연주 주법이다. 이후에 업, 다운 주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연주하게 되기 때문에 해당 주법 또한 다운 스트로크 연주 주법처럼 명확히 이해하고 올바르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다운 주법을 연주한 방법에서 완전히 반대로 진행하는 방법이니 다운 주법을 어떻게 했는지 떠올리며 배우면 된다. 이제부터 업 스트로크의 연주 주법과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본 E7코드, A7코드를 활용하여 통기타로 연주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통기타의 업 스트로크 연주 주법 이해하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다운 스트로크 연주 주법을 알아보았다. 통기타의 다운 주법에 대하여 명확히 이해하였고 연주할 수 있다면 업 스트로크 주법은 다운 주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다운 주법에서는 기타의 6번 줄 위에서 오므린 손을 활짝 펴주듯이 스트로크를 하였는데 이와 반대로 해당 연주 주법에서는 1번 줄 아래에서 활짝 펼쳐져 있는 손을 다시 6번 줄 위로 복귀한다는 느낌으로 연주하면 된다. 적당한 힘을 가하여 1번 줄부터 6번 줄까지 아래에서 위로 동시에 긁어 소리를 한 번에 낼 수 있도록 연습한다.

 

업 스트로크 주법은 아래에서 위로 연주하는 방법인만큼 다운 스트로크 주법에 비해 좀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기타 초보자는 힘 조절이 다소 어려울 수 있고, 그 결과 소리를 명확하게 내지 못할 수 있다. 충분한 연습을 통하여 익숙해지도록 하고 명확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한다.

2. 업 스트로크 연주를 위한 악보 보는 방법 알기

업 스트로크의 연주 방법을 알았다면 악보를 보고 통기타로 연습하게 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악보를 보는 방법은 지난번에 설명한 내용과 같다. 가장 왼쪽에 몇 분의 몇 박자인지 분수로 쓰여있고 가운데를 관통하는 선 위에 음표가 표기된다. 음표의 위에는 연주할 코드 이름이 적혀있고 음표의 아래에는 주법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기된다. 이때 다운 연주법의 기호는 정사각형과 유사한 기호로 표기되지만 업 연주법의 기호는 알파벳 V자로 표기된다. 이제 원하는 악보를 선택하여 해당 연주 주법을 연습해보자.

3. 업 스트로크 주법을 활용한 E7코드의 통기타 연주 방법

해당 주법을 이해하였고 소리를 어느 정도 잘 낼 수 있게 되었다면 지난 시간에 배운 통기타의 E7코드를 활용하여 업 스트로크 주법을 연주해보자. E7코드는 E메이저 코드와 마찬가지로 근음이 6번 줄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코드를 잡은 뒤 1번 줄부터 6번 줄까지 동시에 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4분의 4박자에서 2분 음표로 박자를 늘려 연주할 것이다. 첫 박을 연주하고 두 번째 박자를 쉰 다음 세 번째 박자를 연주한다. 코드를 정확히 잡는 것에 유의하며 소리가 올바르게 날 수 있도록 반복해서 연습한다.

4. 업 스트로크 주법을 활용하여 E7코드를 통기타로 연주하기

다음은 업 스트로크 연주 주법을 활용하여 A7코드를 통기타로 연주해 볼 차례이다. 연주 방법에 익숙해졌고 E7코드를 올바르게 연주하였다면 A7코드 연주는 많이 수월할 것이다. 우선 운지법 대로 A7 코드를 잡는다. A 메이저 코드에서 설명하였듯이 개방현에서 A코드는 5번 줄이 근음이기 때문에 6번 줄은 엄지손가락을 약간 갖다 대어 소리를 나지 않게 해 준다. 코드를 올바르게 잡았다면 E7을 연주한 박자와 동일하게 해당 연주 주법으로 A7코드를 연주해 준다. 6번 줄을 뮤트 하는 것과 코드를 바르게 잡는 것에 유의하여 반복 연습한다.

 

지금까지 업 스트로크 연주 주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A7코드와 E7코드를 통기타로 연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앞서 말했듯이 다운 주법에 비해 힘 조절에 있어서 익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복 연습하여 적당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감각을 익히자. 어느 정도 감각이 생겼다면 다운 연주법과 함께 번갈아가며 연습하는 것을 권장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4비트 스트로크 연주 주법과 지금까지 배운 코드를 활용한 연주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